npm run dev
npx serve .
1장 소감
유데미 수업 같은 경우에도, 자세히 보지 않고 넘겼던 파트였던 것 같다. 기초긴 하지만, createElement를 직접 써서 DOM에 업데이트 하는 구조는 빠르게 스킵했던 것 같다. DOM, Virtual DOM, createElement 를 다시 정리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, TSX로 작성된 코드가 어떻게 HTML에 표현되는지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시간이였다.
2장 소감 useState()는 호출 순서(index)에 따라 상태를 배열에 저장하므로, 렌더링 시마다 같은 순서로 호출되도록 해야한다. 이에 usehook을 loop안에 넣거나, 함수안에 넣게 되면, 호출순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.
3장 소감 동기적으로 처리하는 곳에서 비동기가 오는 경우, throw 전달하여, 준비된 ui를 보여준다는 점을 배웠다. 그리고 해당 node에 promise가 성공하면,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다시 랜더링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